산행자료,교통정보/산행자료, 정보, 지식 등

만추의 화순 적벽을 찾아서~~(30년만에 개방된다기에, 일부 펀글)

청이당 2014. 10. 19. 12:18

< 프롤로그 >

전남 화순군 창랑천(동복천,동복호)에는 적벽이란 명승이 4곳(창랑적벽,물염적벽,보산적벽,노루목적벽)이 있는데,

동복호 상류에 있는 물염적벽, 창랑적벽은 자주 가 볼 수 있었던 곳이나,

옹성산아래 그림처럼 비추이고 있는 노루목적벽, 보산적벽은

광주시민 상수원 보호를 위해 철망문으로 가로막혀 있어서 절경을 볼수없었던 아쉬움을 뒤로하였는데,

이번에 제한적이나마 둘러볼 수 있다고 하니, 조만간 만추의 적벽을 다녀 와 볼까하며,

스크랩해 두었던 잘 정리된 글을 퍼올려본다.

 

풍류 시인묵객들이 들러 아름다움을 노래했던 반면에, 역사적으로 슬픈 사연을 간직하고 있는곳 적벽.

특히, 방랑시인 김삿갓의 방랑벽을 멈추게 하고 생을 마감한 곳도 이 지역이라는데,

그분의 가족과 묘가 백두대간길에 산아래로 아스라이 보이던 강원도,경북,충북의 접경지로 오지중에 오지인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에 있게된 연유를 들여다보면 더욱 가슴이 메어진다.

 

만추의 화순적벽을 찾아서 국내여행(호남)

2013/11/15 16:47

 

복사 http://blog.naver.com/hanik1008/60203644936

전용뷰어 보기

 

조선 10경으로 불릴 정도로 화순적벽은 장엄하게 파노라마처럼 둘러 처진 모습은 가히 경건함을 불러 일으켜 주는데 손색이 없다. 현재 상수원보호구역으로 묶여 있는 이서적벽(사진 뒤)과 보산적벽(사진 앞)의 가을 풍경이 아름답다.


소동파 적벽보다 이 땅의 붉은 절벽이 더 몸서리치는 아름다움

[아시아경제 조용준 여행전문기자] 전라남도 한 가운데 쯤에 화순(和順)이 있다. 사실 익숙지 않은 여행지다.

동쪽에는 아름다운 순천만이 흐르고 남쪽으로 녹차밭으로 유명한 보성, 북쪽으로는 소쇄원의 담양이 버티고 있다.

정작 화순에는 단박에 떠올릴 만한 여행지는 없다. 허나 발을 살짝 내디뎌 보면 언급한 지역보다 뒤질게 없다.

천불천탑 운주사를 비롯해 동복호의 푸른 물과 어우러진 화순 적벽, 작은 저수지의 산벚꽃이 화려한 세량제,

쌍봉사의 철감선사 부도와 탑비 등 숨돌릴 틈도 없이 새로운 풍경을 불쑥불쑥 만날 수 있다.
 

동복호의 가을

 

이 중 만추의 늦가을 발길을 사로잡는 곳이 있다. 바로 적벽(赤壁)이다. 옹성산(해발 572.8m) 자락을 둘러친 절벽이다.

화순군 이서면 장학리와 보산리, 창랑리 일대를 아우르는 붉은 절벽은 동복천 상류 창랑천을 따라 7㎞에 걸쳐 있다.

노루목적벽, 보산적벽, 창랑적벽, 물염적벽 등 4개의 적벽이 한 몸인 셈이다.

'적벽'이란 명칭은 1519년 기묘사화 후 동복(현재 화순의 일부)에 유배 중이던 신재 최산두 선생이

소동파가 노래한 중국 양쯔(揚子)강의 적벽에 버금간다 해서 붙여진 이름.

석천 임억령은 '적벽동천(赤壁洞天)'이라 했고 하서 김인후가 1500년대 적벽시를 지은 뒤 더욱 유명해졌다.

이후 수많은 풍류 시인묵객들이 적벽에 들러 아름다움을 노래했다.

방랑시인 김삿갓의 방랑벽을 멈추게 한 곳도 이 곳이다.

소동파가 적벽부를 지은 때가 1080년대쯤 되니 김삿갓은 그로부터 약 780년 뒤에

화순 적벽의 아름다움에 반해 괴나리봇짐 풀고 앉아 짧은 시를 한 수 남긴다.
 

망향정과 이서적벽

 

"무등산이 높다더니 소나무 가지 아래에 있고/적벽강이 깊다더니 모래 위를 흐르는 구나…."

이때만 해도 김삿갓은 이곳에 뼈를 묻을것이라곤 생각도 못했다.

정처없이 떠돌던 김삿갓은 다시 화순을 찾아 13년간 머문 뒤 동복면 구암에서 생을 마친다.

화순 적벽에는 가슴 아픈 사연도 여럿 있다.

조선 중종 때 유학자이자 개혁 정치가였던 조광조(1482~1519)는 화순에서 사약을 받기 전에

25일 동안 배를 타고 다니며 적벽의 절경을 감상하면서 한을 달랬다고 한다.

화순엔 아직도 그가 사약을 받은 유적지가 남아 있다.
 

화순적벽가는길에 만난 시골농가의 가을

 

이뿐이 아니다. 근대에 들어서는 갈래야 갈 수 없는 수몰 실향민들의 사연이 서려있다.

1970~80년대 동복댐이 건설되면서 최고 높이 100m에 이르던 절벽이 절반 이상 수몰됐다.

4개의 적벽 중에서도 가장 비경이 뛰어난 노루목적벽과 보산적벽은 아예 출입이 차단되었다.

이유는 이렇다. 동복댐이 가둔 물은 광주시민들이 마시는 물이다. 그래서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돼 꽁꽁 묶여 버렸다.

들어가 보려면 광주시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절차가 까다로워 정작 화순군민들은 제 땅인데도 가볼 생각을 않고 산단다.

그렇게 40여년의 세월을 보냈다. 하지만 일 년에 딱 하루, 음력 시월 초하루 무렵에 문이 열린다.

주민들은 이날 고향 마을 기슭인 적벽 아래 모여 잔치를 열며 망향의 그리움을 달랜다.

최근 좋은 소식이 간간히 들려오는 게 그나마 다행이다. 광주시와 화순군, 이서면 번영회 등이 협의 중이란다.

일주일에 한두 차례 한정된 인원에 한해 제한적으로 탐방을 허용할지를 고민하고 있다.

어쩌면 가까운 시일 내에 조금은 자유롭게 가볼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옹성산 아래 자리잡은 적벽과 동복호

 

겨울을 재촉하는 가을비가 내린 지난 주말, 화순 적벽을 찾았다. 적벽로의 상수도사업본부 초소가 들머리다.

이곳에서 노루목적벽과 마주한 망향정까지는 4㎞ 거리다. 비포장 임도인 길은 운치 있다. 동복호를 내려다보면서 걷는다.

임도를 따라 한 2km 정도 가면 좌측으로 시야가 툭 터진 곳이 나온다.

저 멀리 노루목적벽의 숨 막힐 듯한 풍광이 시원스레 펼쳐진다. 절로 탄성이 터진다.

적벽은 이름 그대로 붉은 때깔의 절벽. 하늘로 치솟듯 붉은 기운을 내뿜으며 수직으로 솟아오른 절벽은 보는 이를 압도한다.

이런 정도의 풍경이니 '조선 10경'이라는 말이 허투로 들리지 않는다.

적벽 아래 동복호는 또 어떤가. 하늘빛을 머금은 물빛은 눈이 시리도록 푸르다.
 

 

노루목적벽 맞은편 보산적벽에 정자 망향정이 있다. 댐 건설 후 물에 잠긴 15개 마을의 실향민을 위해 세운 정자다.

망향정을 둘러친 돌담 위에 올랐다. 가파른 산자락을 이리저리 굽이치는 창랑천은 이곳저곳에 모래톱을 만들었다.

어떤 것은 꼭 자라 모양새다. 태초부터 하나였던 풍경은 보는 이로 하여금 탄성을 자아내게 만든다.

수몰전 그 옛날 동복호에 배를 띄워 적벽의 비경을 둘러보던 옛사람들의 뱃놀이가 눈앞에 그려지는 듯 하다.

적벽 하류 동복호 관리사무소 아래에는 만경대가 있다.

소동파의 적벽부에 나오는 '만경창파(萬頃蒼波)'에서 이름을 따왔다.

동복호 상류 창랑적벽과 물염적벽은 노루목적벽의 규모만 못하지만 가까이에서 조망할 수 있다.
 

화순 운주사 천불천탑

 

'물 좋은 곳'에는 으례 정자가 있기 마련.

창랑천 물줄기와 어우러진 적벽의 수려한 풍광을 따라 물염정, 송석정, 망미정, 망향정 등 4개의 정자가 있다.

강가의 기암괴석과 소나무에 둘러싸인 송석정은 최근에 지어졌지만 풍광이 기막히다.

망향정 아래에 터를 잡은 망미정은 인조 14년 의병을 일으켰던 유학자 정지준이 1646년에 정자를 짓고 은거한 것으로 전해진다.

노루목적벽 상류 3㎞ 지점에 자리 잡은 물염정은 김삿갓이 수시로 올라 시문을 즐겼다는 그 정자다.

돌아서는 길, 노산 이은상이 화순 적벽을 '선계(仙界)'에 비유한 시가 떠오른다.
 

고인돌유적지


'산태극 수태극 밀고 당기며/유리궁 수정궁 눈이 부신데/오색이 떠오르는 적벽 강물에/옷 빠는 저 새아씨 선녀 아닌가'.

화순=글·사진 조용준 여행전문기자

◇여행메모

△가는길=광주에서 너릿재터널을 지나 화순읍에서 벌교ㆍ고흥 방면 22번 국도를 따라 동면ㆍ구암삼거리를 거쳐 간다. 여기서 좌회전해 15ㆍ22번 국도를 따라가다 경치리 삼거리(묘치고개)에서 좌회전해 동복댐 우회도로(적벽로)를 따라 6㎞쯤 가면 적벽과 정자들이 나온다. 사전탐방신청은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 용연사업소(062-609-6122)나 화순군청(061-374-0001)에 하면 된다.

△볼거리=운주사는 절집의 내력이 신비한 천년고찰이다. 과거에는 천개의 탑과 불상이 있었다고 전해지며 현재 보물급 돌탑과 불상을 포함해 17기의 석탑과 80기의 석불이 남아 있다.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고인돌유적지는 총 596기의 고인돌이 분포해 과거로의 시간여행을 온 듯하다. 이외에 조광조 유허비, 공룡발자국화석지, 유마사, 쌍봉사 등이 있다.

△먹거리=먹을거리로는 두부가 알아준다. 동면의 달맞이흑두부(061-372-8465), 도곡면의 색동두부(061-375-5066) 등이유명하다. 두부보쌈이나 두부전골 등을 내놓는다. 한상 그득하게 남도 한정식을 차려내는 수림한정식(061-374-6560)도 빼놓으면 아쉽다.
 

 

[출처 : 아시아경제, 조용준 여행전문기자] 

 

김병연 = 김립 金笠 [1807~1863]

 

  1807(순조 7)∼1863(철종 14). 조선 후기의 방랑시인. 본관은 안동. 자는 난고(蘭皐), 별호는 김삿갓 또는 김립(金笠).

   경기도 양주 출생.

평안도 선천(宣川)의 부사였던 할아버지 익순(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투항한 죄로 집안이 멸족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 (金聖洙)의 구원으로 형 병하(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해 공부하였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안근(安根)은 홧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 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의 길에 오른다. 이때부터 그는 푸른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고 삿갓을 쓰고 죽장을 짚은 채 방랑생활을 시작하였다.

 

ps. 1) 화순에 있던 김삿갓의 묘는 김삿갓의 아들이 영월땅으로 이장을 하였으나 그 위치를 찾을수없어서

         1970년대에 영월지역 향토사학자들이 겨우 찾아 내었으며, 하동면은 김삿갓면으로 개명하기까지 이르렀다. 

 

       2) 적벽투어 예약 : 화순군청 홈페이지

            - 수,토,일요일 : 09:30, 12:00, 14:30에 화순군 이서면 적벽입구 철망문옆 주차장에서 버스로 이동